반응형
우리 나라 즉 한국에서 태어난 사람은 출생과 동시에 한살을 먹고 들어갑니다. 하지만 요즘 사회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는 만 나이를 적용하고 있지요.
자신이 흔히 사용하던 나이만 알고 있다 갑자기 만 나이를 적용해야 할때 당혹스러울 수 있습니다.
오늘은 저와 같은 만 나이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만 나이 계산기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. 아주 간단하답니다.
N사 포털 검색창에 '만 나이 계산기'를 입력만 하시면 됩니다. 이때 계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주민등록상 출생년월일과 기준일만 있으면 되지요.
검색결과 바로 N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만 나이 계산기가 나옵니다. 만 나이뿐만 아니라 달력이나 양음력 변환, 날짜계산, 군대 전역일 계산기도 제공하고 있어요.
만 나이 계산을 위해 출생일과 기준일을 입력함 하면 됩니다. 기준일의 경우는 만 나이는 생일이 지났느냐 아니냐에 따라 만 나이가 달라지기 때문이랍니다.
예시로 1981년 5월 10일 생일인 사람의 기준일이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만 나이로 35세입니다. 생일이 아직 지나지 않았기 때문이죠.
하지만 이 사람이 생일이 지났다면 만 36세가 된답니다. 이처럼 만 나이는 자신의 생일을 기준으로 한살씩 차이가 난답니다.
서비스로 18세 이상 가능한 것들을 모아 보았습니다. 운전면허나 취업, 군입대, 공무원시험 등이 가능하답니다.
오늘은 이상으로 만 나이 계산기를 간단히 소개해 보았습니다. 지금 한번 자신의 만 나이를 알아보는 것은 어떨까요?
반응형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