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는 월급을 통해 돈을 모으는 가장 기본적인 재태크는 무엇일까요? 가장 기본적인 것이 바로 예금, 적금이 아닌가 하고 생각해봅니다.
아무런 계획도 생각도 없이 자신의 소중한 돈을 은행에 맡기는 분 계시지는 않을 것입니다. 금리가 얼마인지, 일정기간 동안 거치 시 얼마의 이자가 붙는지 궁금해 하실텐데요.
오늘은 이러한 재태크 계획의 첫단계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예금계산기와 적금계산기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물러갑니다.
우선 국민은행을 검색합니다. 검색결과 아래 여러 카테고리 중에 '금융계산기' 카테고리를 클릭합니다. 그럼 바로 이동이 되죠.
계산기 페이지로 전환된 모습입니다. 대출계산기부터 연금, 환율, 날짜 계산기 등 여러 계산기가 있답니다. 이 곳에서 바로 계산기를 돌리시면 됩니다.
예금을 계산해보기 위해 예금계산기를 클릭하면 위의 계산기가 나옵니다. 거치금액과 거치기간, 은행의 이자율을 넣고 아래 계산하기를 클릭합니다.
1천만원의 예치금을 3년 동안 거치하고 이자가 보통 1.20%이니 이정도한다고 봤을때 36만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.
위는 적금계산기의 모습입니다. 역시 월 적립액을 넣고 적립기간, 이자율을 넣고 계산합니다.
월 1백만원을 3년이라는 기간동안 적립하고 1.60%의 이자를 고려한다면 3년 후 36,888,000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. 아래에는 일반과세의 경우와 세금우대, 비과세의 경우를 예로 잘 들어 놓았습니다.
오늘은 이상으로 예적금계산기에 대한 정보를 간단히 안내해 드렸습니다. 모두 부자되고 건강한 대한민국을 꿈꾸며 물러갑니다.
댓글